고려대 의대도 미복귀 학생에 대한
페이지 정보

본문
정부의 내년도 의대 정원 동결에도 불구하고의대생들의 집단행동이 계속되는 가운데, 연세대에 이어 서울대와 고려대 의대도 미복귀 학생에 대한 제적 또는 유급 처리를 시사했다.
사진은 12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부의 내년도 의대 정원 동결에도 불구하고의대생들의 집단행동이 계속되는 가운데, 연세대에 이어 서울대와 고려대 의대도 미복귀 학생에 대한 제적 또는 유급 처리를 시사했다.
사진은 12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12일 교육계에 따르면 지난해 집단 휴학한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의대 교육 여건에 대한 개선책이 뚜렷하지 않은 상황에서, 복귀 시한을 3월로 못 박은 건 협박이나 마찬가지라는 건데요.
[서울=뉴시스] 정부가 이달 말까지의대생전원 복귀를 조건으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방침 이전(3058명)으로 동결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연세대 의대가 미등록 휴학 신청자들을 제적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조건부 동결 방침을.
교육부가 이달 말까지의대생전원 복귀를 전제로 내년 의대 모집 정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공언하면서 대학마다의대생들을 복귀시키려 애쓰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의과대학.
/사진=뉴시스 교육부가 이달 말까지의대생전원 복귀를.
의과대학 시험에서 단체로 커닝을 하다가 적발된의대생들이 기소유예 처분을 받아 재판에 넘겨지지 않았다.
사진은 한림대 의대 강의실 모습.
질병 등 불가피한 사유를 제외한 모든 학생이 돌아와야 한다’는 조건을 달긴 했지만, 사실상 의대 증원 정책을 철회한 만큼의대생들도 복귀로 화답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제는 반드시 학교로 돌아와야 한다”며 “지난해처럼 학사.
정부가 ‘의대생3월 말 복귀’를 전제로 의대 정원 철회를 선언했다.
1년 넘게 이어져 온 의정갈등을 해결하자는 의지를 드러냈음에도, 의료계 반응은 싸늘하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의과대학 시험에서 커닝페이퍼를 만들어 부정행위를 한의대생들이 2년만에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업무방해 혐의는 인정되지만 사안.
- 이전글원점, 부산 센텀시티점 등 4 25.03.13
- 다음글며 젤렌스키 대통령의 태도를 문제 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