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스 국내 이동통신 3사의 지난해
페이지 정보

본문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국내 이동통신 3사의 지난해 연간 합산 영업이익이 4조원 아래로 떨어졌다.
AI(인공지능) 사업 수익화가 본격 반영된SK텔레콤은 선방했지만 KT와 LG유플러스는 인건비 등 일회성 비용 증가로 부진한 성적을 받았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이통3사의 연결기준 연간 합산.
이동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가 2021년부터 이어온 ‘영업이익 4조원’의 벽이 무너졌다.
최근 통신업계 희망 퇴직자 수가 크게 늘면서 위로금 등 인건비 지출이 커진 게 저조한 실적의 주요인으로 꼽힌다.
업계에서는 일회성 비용을 털어낸 이동통신 3사가 올해부터 인공지능(AI) 사업.
국내에는 3위 앱 마켓 사업자로 이동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의 합작품 원스토어가 영업 중이지만 자사 앱 마켓을 우대하라는 구글·애플의 압박에 밀려 좀처럼 점유율을 확대하지 못하고 있다.
통신사들이 원스토어를 ‘메기’로 키우지 못하는 이유가 구글로부터 불이익을 받으면서도 인앱 결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10대 그룹 계열사 중에선SK텔레콤·SK스퀘어, 포스코홀딩스, 한화생명·한화오션, 광주신세계 등이 도입했다.
다만 지난해 실제 주총 이사 선임 안건에서 집중투표제를 실시한 사례는 KT&G 1건뿐이었다.
유명무실하던 집중투표제에 관심이 쏠리자 재계는 화들짝 놀라는.
SK텔레콤도 AI 비서 에이닷을 통해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I가 탐지한 피싱주의·스팸주의·스팸의심 표시를 휴대전화 액정에 띄운다.
보이스피싱 전화번호는 자동으로 차단한다.
이미 신고 완료된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아직 신고되지 않은 최신 의심 전화번호도 알려 준다.
SK텔레콤은 보통주 1주당 105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9%, 배당기준일은 2월 28일이다.
SK하이닉스는 보통주 1주당 1305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6%, 배당기준일은 2월 28일이다.
더블유게임즈는 보통주 1주당 120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TPC, SK, SBI인베스트먼트, 에이스테크, 오픈베이스, 드림어스컴퍼니, TS인베스트먼트, 푸른기술, 드림시큐리티, 로보스타, 아이엠, 삼익THK, SGA솔루션즈, 커머스마이너, NAVER, 삼성전자, 대성창투, 롯데정보통신, 휴림네트웍스,SK텔레콤, KT, 삼성에스디에스, LG전자, LG유플러스, 모비스, DH오토웨어가 있다.
SK텔레콤과 KT의 인력구조 개편에 따른 일회성 비용 반영이 이번 실적 악화의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각사별 영업이익을 살펴보면,SK텔레콤의 지난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은 1조8234억원으로 전년보다 4.
같은 기간 KT는 8095억원, LG유플러스는 863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SK텔레콤은 올해도 ‘AI 수익화’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선언했다.
특히 ‘AI 클라우드’·‘AI 컨택센터(AICC)’ 등 AI 기업 간 거래(B2B) 사업을 담당하는 AIX 영역에서 올해 약 30%의 매출 증가를,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 DC) 분야에선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이겠다고 했다.
[사진:SK텔레콤]SK텔레콤·KT·LG유플러스가 4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입을 맞춘 듯 AI 수익화를 올해 최대 목표로 내걸었다.
목표는 같았지만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과 전술에선 차이를 보였다.
SKT는 올해 '돈버는 AI'를 위한 사업화에 집중한다.
올해 중으로 유료 구독형 에이닷 출시를 추진한다.
- 이전글가한 수치이자,1998년주식 시장 25.02.14
- 다음글드와 홍콩 디즈니랜드에서 공부하 25.02.14